지름 원인)
1. 어머니가 예전에 외장하드가 필요하다고 자꾸 말씀하신 것.
2. 그냥 냅두면 컴퓨터 관련은 조금이라도 아는 나 빼고 다 무지인들이라 뭔 듣보잡 살거 같아서.
3. 거실 컴퓨터가 심심하면 자꾸 싸우자고 Operation Not Found 를 분출함.
7년차라 슬슬 맛이 가기 시작한지 오래됬음.
4. 내가 250GB 로는 용량이 조금 부족해서. (데이터 보관 파티션이 115GB인데 모자름)
5. 잘 말하고 가겠지만 나 없는 동안 뭔 일 일어날지 혹시 모르니 이중 백업의 목적
이라는 이유로 구매하게 된 하드입니다.
그러고보니 이제 이 노트북은 의도치 않게 메인보드, 그래픽을 제외한 부분은
전부 업글이 되었군요 -_-
자세한 내역은 지름 / 특수기록 카테고리에.
노트북용 2.5인치 640GB 용량 모델인 WD6400BPVT 입니다.
2.5인치 750GB / 1TB가 아직 시중에 풀리지 않은 것과 이 둘은 두께 차이 때문에
일반형 노트북에는 장착 불가라고 들었기에, 일반적인 면과 현재 시기에선 최고 용량인듯.
기존의 BEVT 와의 차이는 신기술 어쩌고 하는 어드밴스드 포맷 적용 여부.
XP는 WD Align 프로그램을 써서 포맷하고 써야 한다는게 말들이 많은데
비스타 이상의 OS 용도로 쓸거라면 상관없다는군요.
단, 파티션 나눌 때에는 7이라도 align 실행해야한다는데,
예전에 구해놓은 LG 윈7 프로페셔널 리커버리로 복구(라고 쓰고 설치) 할 때
파티션을 2개로 나눴기에 확인해보고 적용하려고 했는데, 되 있다고 나오고 안 되길래 그냥 손 놨습니다.
이번 포맷 or 교체를 끝으로 32비트로 복귀.
은행권도 64비트 되는데 ‘兵맛청’ 로그인은 64비트 호환 안 됨에 경악 -_-
그래서 거실 컴퓨터로 신청과 확인을 한 불편함이 있었고,
어차피 나 가면 이 컴퓨터는 나 없는동안 공용 컴이 될 것이기에 어차피 돌아와야 하므로…

1년 동안 수고. 앞으로는 백업용으로 수고. 노트북 A/S 따위 무상기간은 이 달로 끝.
그리고 이게 원래 노트북에 달려있던 기존 하드.
이제 이 놈은 자료 정리가 완료되는대로 로우 포맷을 실행할겁니다.
그리고 다음 포스팅인 외장 하드 케이스 장착행이 되는거죠.
점수는 기존 하드 64비트 때와 동일한 점수를 내주었고,
하드 점수만 5.5에서 +0.3 올랐군요.
64비트 였다면 6.4/6.4/3.7/5.4/5.9 찍었을 듯.

몇몇 프로그램만 깔은 직후에 프로세스 정리한 채 실행한 결과.
하드 점수가 괜히 오른건 아니었습니다.
저런 숫자 놀음 표기는 ‘아웃 오브 지식’ 이라 패스.
저 결과값 말고 파일 전송시 표기되는 전송 속도가
이전 하드에 비해 평균 10mb/s 정도 올랐더군요. 이게 핵심 아닌가.
솔직한 감상은,
1) 스펙이 동일하니 진동/발열 수준은 비슷한 것.
2) 아주 약간의 속도 향상과 용량 빼고는 사실 별 메리트가 없다는 것.
3) WD 하드 특유의 딱딱 나는 소리는 좀 지켜봐야 할 거 같다는 것.
뭐 아는 한도로는 여기까지.
PS)
정품 대행 A/S사 스티커 붙인답시고 칼로 껍데기 찍 긋고 스티커 붙인다는데,
저 방식 정말 마음에 안 듭니다 -_-
다행히 제 꺼 본체에는 종이 접은거 같이 아주 조금 눌린 티만 나서 신경 안 쓰이는게 다행.
청명
TuNE
시라이츠
TuNE
이키나!
TuNE
이키나!
엘리슨
TuNE
해바라기
TuNE
影猫
TuNE